이번방학에는 네트워크 복습을 위해 혼자공부하는 네트워크를 구매해 공부하게 됐다.
공항에서 앉아서 작성하는중.. 혼공단참여 제약이 걸리니 남는시간 짬내서 공부하게 돼서 좋다...............
기본 숙제
OSI 모델 | TCP/IP 모델 |
응용 계층
|
응용 계층
|
표현 계층
|
|
세션 계층
|
|
전송 계층
|
전송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인터넷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
물리 계층
|
OSI 모델은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만든 네트워크 참조 모델 이론적 기술을 중점으로 둔다.
7단계로 구성되며 하단부터 기술하면
비트신호 단위로 주고받는 물리계층.
기기의 MAC 주소를 활용해 동일 네트워크 노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링크 계층
IP 주소를 활용해서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계층
TCP 등을 활용해서 출발지와 목적지간 데이터 전송 신뢰성과 흐름 관리를 맡는 전송 계층
세션 유지및 관리를 위한 세션계층
데이터 인코딩/디코딩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표현계층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응용계층
TCP/IP 모델은 구현에 중점을 둔 모델로 네단계로 이루어진다.
OSI 모델에서 규정한 계층을 위 표와 같이 합쳐서 각 계층의 범위를 넓게 사용해 표현한다.
추가 숙제
(p.35) 확인문제 2번.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골라보세요.
1)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 도움을 주지 않습니다.
2)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유지 보수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많은 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비와 상호 작용하며 실행됩니다.
4)채용 시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강조하거나 검증하는 기업이 존재합니다.
1-> X 네트워크와 상호작용 할 요소가 많은 현대의 프로그램 개발에서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2->1번 보기에서 연결되어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도 도움을 줄 수 있다.
3->이것도 1번 보기와 연결되어 현대의 많은 프로그램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비와 상호작용한다.
4->네트워크가 프로그램 개발, 유지보수에서 큰 도움을 주기에 채용시에도 지식을 검증하는 기업이 존재
답 1번.
(p.73) 확인문제 2번. 네트워크 참조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골라 보세요.
1)OSI 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통신 과정을 구분합니다.
2)TCP/IP 모델은 3개의 계층으로 통신 과정을 구분합니다.
3)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를 용이하게 합니다.
4)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네트워크 문제 진단과 해결을 용이하게 합니다.
1->OSI 모델은 물리계층,데이터링크계층,네트워크계층, 전송계층 ,세션계층,표현계층,응용계층으로 7계층구조로 구분
2->TCP/IP 모델은 OSI 7계층에서 상위 3계층을 응용계층으로 묶고, 전송계층과 인터넷계층(네트워크 계층과 유사)
그리고 데이터링크 계층과 유사한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총 4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3->각 계층의 역할이 정해져 있기에 계층의 목적에 맞게 프로토콜과 장비를 구성할 수 있기에 구성과 설계가 용이.
4->계층별로 점검해 나가면 어느 계층이 문제인지 확인하기 쉽다.
답->2번
내용정리
프로토콜->통신 과정에서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나 방법
서로 다른 통신장치인 노드간에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되어있다.
현대 인터넷에선 호스트 간 정보를 교환할 때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패킷에는 데이터(페이로드)와 정보를 잘전달하기 위한 정보들(헤더)가 있다. 네트워크 장비들은
이 헤더를 통해 적절히 패킷을 다음 장소로 전달해줄 수 있게된다.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때에는 정형화 된 몇가지 단계를 통하게 되는데, 이를 정리한 것이
네트워크 참조모델이다. 계층식으로 되어있어 소프트웨어에 가까운 상위계층에서
물리적 전기신호에 가까운 하위계층 까지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계층별로 역할을 나눠두었을 때, 문제가 생긴 계층이 어디인지 단계별로 체크할 수 있기에
문제를 해결하기 편해지고,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가 간단해짐.
encapsulation -> 송신부에서 응용프로그램에서 담은 메시지(페이로드)에
네트워크를 통한 전달을 위한 각종 정보(헤더)를 담아 계층별 필요한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
decapsulation -> 수신부에서 각 계층별로 해당 계층의 헤더를 확인 한 후 제거해서 페이로드를 확인해내는 과정.
bandwidth(대역폭) ->단위시간동안 통신매체를 통해 송수신 가능한 최대 정보량
throughput(처리량) -> 단위시간당 네트워크를 통해 실질적으로 전송되는 정보량.
[혼공네트] 6주차 (0) | 2024.08.19 |
---|---|
[혼공네트] 5주차 응용계층 (0) | 2024.08.06 |
[혼공네트] 3주차 네트워크 계층 (0) | 2024.07.18 |
[혼공네트] 2주차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0) | 2024.07.14 |